2022.10.23일 일요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열린 긴급회동으로 약 50조 규모 정도의 시장 유동성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금일 회동이 금융상품, 특히 증권사 발행어음 등 기업어음에 끼칠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란? & 오늘 회의 간단 내용
-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란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금융감독원장, 대통령실 경제수석 등 경제 수들이 모여서 현재 급변하고 있는 거시경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열리는 회의입니다.
- '비상'이라는 네이밍에 걸맞게 일요일임에도 불구하고 회의가 열리는 모습입니다.
- 오늘 회의에서는 최근 변동성이 높아진 회사채시장과 단기자금시장 동향 등을 점검하고 시정 안정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회의 세부 내용
50조 원 + α 규모의 돈을 시장 안정을 위해 지원한다는 소식입니다. 세부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6조 원 규모의 활용해 2022.10.24일부터 시공사 보증 PF-ABCP(자산유동화증권) 등 회사채, CP 매입을 재개
- 산업,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운영의 회사채 및 CP 매입 프로그램의 매입한도를 8조에서 16조로 확대
- PF-ABCP 차환 어려움이 있는 증권사에 3조 원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
현재 레고랜드 발 PF 사태로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래고랜드 발(發) PF 사태란, 레고랜드를 지으면서 시공사에서 회사채(회사에서 발행한 채권으로, 투자자들이 돈을 빌려주는 것)를 발행했는데, 최근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빌려준 돈을 갚지 못하게 되어버린 일을 말합니다. 여기에 돈을 지원하겠다는 것이 회의 내용입니다.
이를 더해 레고랜드뿐 만 아니라 회사에서 발행한 채권, 증권사에서 발행한 채권 모두 정부에서 보증함으로써 시장에 신뢰감을 더해준다는 시각입니다.
해당 회의가 시장에 끼칠 영향
앞서 언급한 대로 해당 회의는 정부가 여러 채권의 보증을 씀으로써 한국 채권 시장에 신뢰감을 조성하고,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자산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너무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해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긴축을 하고 있는 만큼 돈을 풀면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증권사 발행어음에 끼칠 영향
레고랜드 발 사태로 증권사 발행어음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신 분들도 많아지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가 유동성을 지원하고 한도를 확대해 주었으므로, 내 돈이 통 채로 사라질 걱정은 조금 덜어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