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ineering19

회로이론 #7 옴의법칙 (feat. Orcad) 옴의 법칙 오늘은 옴의 법칙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상식에 속하는 개념이긴 하지만 그만큼 중요한 내용이니 한번 정리를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거두절미하고 시작하자면, 옴의 법칙은 도체의 두 지점 사이에 나타나는 전위차(전압)에 의해 흐르는 전류가 일정한 법칙에 따르는 것을 말합니다. 전류(Intensity of current, I)는 전압(Voltage, V)에 저항(Resistance, R)을 나눈 값이라는 것이죠. 식으로 간단하게 나타내면 I [A, ampere] = V [V, volt] / R [Ω, ohm] 입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대괄호 안에 있는 것은 단위입니다, 단위 옆에는 단위를 어떻게 읽는지 써보았어요🙌) 이 식에 따르면, 전류(I)는 전압(V) 이 커질수록, 저항(R)이 작아.. 2022. 10. 12.
회로이론 #6 도전율이란? (feat. 은동금)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도전율이란? 도전율(전도율, Conductivity, k, σ)은 사전적으로 물질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물리량입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전기가 잘 통하는 게 뭐야?라고 물어볼 때 조금 똑똑하게 보이려면 도전율이 좋은 도체가 뭐야? 라고 물어보면 되는 것이죠 그럼 도전율(전도율)을 공식으로 정의하면 어떻게 될까요? 쉽습니다. 도전율은 고유저항의 역수입니다. 즉, 이렇게 되는 것이죠. 도전율(σ) = 1/고유저항(ρ) 그렇다면 단위는 어떻게 될까요? 고유저항이 [Ωm]이니 이걸 거꾸로 뒤집으면 [℧/m] ➡️ 읽을 때는 [모(mho) 퍼 미터]라고 읽습니다. ohm(Ω)의 역수이기 때문에 거꾸로 읽어서 mho(℧)라고 한다네요;;;하하 장난 아니고 진짜입니다. 요즘에는 국제도량.. 2022. 10. 6.
회로이론 #5 연동선, 경동선, 알루미늄선의 고유저항(비저항) 전선으로 주로 쓰이는 도체 이제는 너무나도 필수가 되어버린 전기. 힘들게 만든 전기를 누리려면 전기를 최대한 손실 없이 이동시켜야 합니다. 전기를 손실없이 이동시킨다. ➡️ 전기저항을 적게 받는다. 이렇게 이해 하실 수 있겠습니다. 우리는 저번 시간까지 전기저항에 대해서 알아보았죠. 2022.09.27 - [Engineering] - 전기 #4 고유저항, 저항률, 비저항, ρ(공식, 기초, 쉬움) 전기 #4 고유저항, 저항율, 비저항, ρ(공식, 기초, 쉬움)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비저항(고유저항, 저항률, ρ 등 모두 같은 말입니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저항이란 무엇일까요? 저번시간에 간단히 설명했지 soxl99.tistory.com 혹시 기억이 안나신다면 복.. 2022. 10. 5.
회로이론 #4 고유저항, 저항율, 비저항, ρ(공식, 기초, 쉬움)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비저항(고유저항, 저항률, ρ 등 모두 같은 말입니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저항이란 무엇일까요? 저번시간에 간단히 설명했지만 비저항은 물질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저항 상수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쉽게 말해 물질이 전류의 흐름에 얼마나 세게 맞서는지를 측정한 물리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m (단위미터) 체적에서의 저항을 구하기 때문에 비저항을 단위 체적 당 저항값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물질의 비저항이 높다면 전류의 흐름에 세게 맞서는 것이 되므로 물질에 의해 생기는 전기저항의 값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선으로 만들기에 적합하려면 비저항이 높아야 할까요 낮아야 할까요? 전선은 전기를 최대한 손실 없이 이동시켜야 하므로 .. 2022. 9. 27.
회로이론 #3 저항의 세기 구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것은 바로 저항의 세기입니다. 자 저항이란 무엇일까요?? 자 다음 그림을 보시죠 저항이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분입니다. 보통 전기는 전선을 통해 흐르므로, 전기저항은 전선에서의 저항으로 계산합니다 그림에 있는 동그란 것은 거듭 믿기 힘드시겠지만 전선입니다 ㅎㅎ;; 전선에 있는 l [m]는 전선의 길이, D [m]는 전선 단면의 지름입니다. 둘 다 단위로는 [m 미터]를 쓰고 있습니다. 전선 아래 있는 수식을 볼까요?? 수식의 맨 앞 A [m²]는 전선 단면의 넓이입니다. 수식의 전개를 쭉 살펴보면, 전선 단면의 넓이(A)를 전선 단면의 지름(D)으로 나타내는 과정이죠 전선 단면은 원이고,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π * r²(반지름²) 이 되겠습니다... 2022. 9. 23.
회로이론 #2 전압의 세기 구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블로그 포스팅을 하며 느낀 것인데 아무리 쉬운 것이라고 해도 제대로 아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느꼈어요 뭐... 이상 제 공부 포스팅이 늦은 것에 대한 짧은 변명이었습니다..ㅠ 본론을 시작하기에 앞서, 저번 시간에 이야기했던 내용에 대해 관련 예제를 딱 하나만 풀어보겠습니다! 자 우선 문제부터 보면, 전류가 i(t), (교류에서 전류는 시간 함수로 나타나죠) 일 때 0초부터 3초까지의 전하량(Q)을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맨 위에 쓰여있죠?? 전하량 Q = ∫ i(t)dt입니다. 그러므로 식에 대입해서 계산하면, 그림과 같이 결과가 나옵니다!! 자 멀리 돌아왔죠?? 본론으로 돌아가서, 저번 시간에는 전류의 세기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지만 이번에는 전압의 세기를 알아보는 시간을 .. 2022. 9. 8.